'백세시대' 노후자금 25% 더 필요한데 은퇴 앞둔 50대 소득은 줄어

사진=게티이미지뱅크

[세계파이낸스=이정화 기자] 100세 시대가 도래한 가운데 고령층이 노후대비용으로 준비해야 할 자산은 늘어날 수밖에 없는 반면 은퇴 직전 연령층의 가처분소득은 10년 만에 가장 큰 폭으로 감소하고 있어 주목된다.

3일 한국금융연구원 금융브리프에 실린 '인구구조 변화와 재정 측면의 과제'에 따르면 2000년에 만 65세 노인의 기대여명은 16년에서 2017년에는 21년으로 증가하면서 필요한 노후대비 자산이 대폭 늘어나는 것으로 집계됐다.

기대여명은 앞으로 더 생존할 것으로 예상하는 기간이다.

이들 65세 노인이 이자율 2% 상황에서 매년 1달러씩 연금을 받는다고 가정하면 2000년 65세 노인의 연금 현재가치는 13.6달러, 2017년 65세 노인의 연금 현재가치는 17.0 달러로 산출된다.

이에 따라 기대여명이 증가 시 2017년 65세 노인이 2000년 당시와 같은 나이의 노인과 동일한 생활수준을 유지하려면 노후대비 자산이 약 25% 증가해야 한다는 의미다.

이에 비해 반면 은퇴를 앞둔 50대 가구주 가계의 가처분소득은 쪼그라들고 있어 대조를 이룬다.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4분기 50대가 가구주인 가계의 명목 월평균 가처분소득(전국·2인 이상)은 412만원으로 1년 전보다 2.4%(10만2000원)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글로벌 금융위기 당시인 2009년 2분기(-2.9%) 이후 최대 낙폭이다.

50대는 가장 많은 인구가 몰려 있는 연령층이다. 저출산 고령화가 빠른 속도로 진행되면서 지난해 50대 인구 비중은 16.6%를 기록해 40대(16.4%)를 넘어섰다.

가처분소득은 명목소득에서 조세·연금·이자 비용 등 비소비지출을 제외한 것으로 소비나 저축으로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는 소득이다. 가처분소득이 줄었다는 것은 가계의 실질적인 경제 여력이 줄었다는 뜻이다.

50대 가구주 가계의 가처분 소득 감소에는 고용 부진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여기에 최근 수년간 50대 가계주 가계부채가 급격히 늘어난 데다 지난해 금리까지 오르면서 이자 부담까지 확대됐다는 분석이 나온다.

실제로 지난해 기준 50대 가구주 가계의 평균 금융부채는 9104만원으로 40대(9979만원)에 이어 두 번째로 많았다. 금융대출 중 담보대출보다 금리가 높은 신용대출 비중은 50대(15.4%)가 40대(13.9%)보다 더 높았다.

과거보다 더 많은 노후자금을 필요로 하는 백세시대가 도래했지만 정작 노령층으로 접어드는 세대의 경제력 악화는 앞으로 심각한 노인 빈곤을 초래함으로써 경제 활력을 떨어뜨리는 것은 물론 전체 시스템에 큰 부담이 될 것이라는 지적이 나온다.

이미 한국의 노인빈곤율은 2015년 기준 45.7%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 가운데 최고 수준이다.

jhlee@segye.com

[ⓒ 세계비즈앤스포츠월드 & segyebiz.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