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SP·EDCF 연계로 효율성 높여…협력국 개발에도 기여"

2018 경제발전경험공유사업 성과공유 세미나 개최
김태수 본부장 "패키지 지원 통한 시너지 효과 가속"

 

 

김태수 수출입은행 경제협력본부 본부장이 29일 열린 '2018 경제발전경험공유(KSP) 성과공유세미나에서 발표를 하고 있다. 사진=오현승 기자

[세계파이낸스=오현승 기자] 수출입은행이 경제발전경험공유사업(KSP)과 대외경제협력기금(EDCF) 간 연계성을 강화해 두 사업의 효율성을 높이고 협력국의 개발목표를 달성하는 역할을 지속적으로 수행하고 있다고 밝혔다.

김태수 수은 경제협력본부 본부장은 29일 롯데호텔에서 기획재정부가 주최한 '2018경제발전경험공유사업(KSP)성과공유세미나'에서 "KSP가 정책제안 및 컨설팅을 통해 협력국 개발을 위한 로드맵을 짜는 기능을 한다면 EDCF는 이 로드맵이 형성되도록 지원하는 역할을 담당한다"며 이 같이 말했다.

KSP는 한국의 경제발전 경험을 협력대상국과 공유해 이들의 경제성장 로드맵을 수립하는 역할을, EDCF는 장기·저리 차관을 지원해 실질적인 사업 추진을 뒷받침하는 기능을 한다. 기획재정부의 주관 하에 한국개발연구원(KDI), KDI 국제정책대학원, 수은 등 세 개의 기관이 KSP를 실시하고 있는데, 수은은 국제기구와 공동컨설팅사업을 진행한다.

KSP는 협력국을 대상으로 한 양자간 KSP와 국제기구와 공동컨설팅을 통한 다자간 KSP로 나뉜다. 지난해 말까지 수은이 양자간 KSP를 통해 협력한 프로젝트는 28개, 협력국 수는 15개다. 세계은행(World Bank), 아시아개발은행(ADB),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등 9개 다자개발은행(MDB)과 진행 중인 다자간 KSP를 통한 프로젝트는 98개다.

김 본부장은 KSP의 효과성을 높이는 EDCF도 역할도 함께 소개했다. 그는 "EDCF는 교통, ICT, 교역, 교육, 보건, 신재생에너지 등으로 한국의 개발협력과 전문지식을 보유한 다양한 분야를 다룬다"며 "지난 6월 말 기준 54개 국가에서 399개 프로젝트를 수행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EDCF는 한국과 협력국 간 경제협력을 도모하기 위한 목적으로 지난 1987년 설립됐으며 수은이 기획재정부로부터 EDCF사업을 위탁받아 운영하고 있다. EDCF차관은 양허성 차관으로 일반적인 금리 수준은 최저 0.05%에서 2.50%사이다. 상환기간은 최대 40년으로 15년 간의 유예기간을 부여할 수 있다.

김 본부장은 "수은은 KSP와 EDCF 자금을 통해 프로젝트 초기단계에서 포괄적인 정책 솔루션을 제공한다"고 강조했다. KSP를 통해 법률자문, 재원조성 등의 정책 컨설팅을 제공하고 이후 타당성 조사를 거쳐 EDCF, 수은 및 MDB이 협조융자를 통해 재원을 조성하는 식이다.

김 본부장은 이어 KSP 정책자문 결과가 EDCF 등 후속사업으로 연계된 사례도 소개했다.

수은은 지난 2013년 미주개발은행(IDB)과 함께 니카라과에 브로드밴드 구축을 위한 공동컨설팅을 제공했다. 브로드밴드를 구축하면 빈곤, 교육 및 의료환경, 지역간 격차 등의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사업 입안 후 ECCF와 IDB는 각각 2500만 달러씩 총 5000만 달러를 사업 추진 재원으로 공여했다.

이집트 나흐하마디~룩소르 118km 구간을 대상으로 한 철도 신호시스템 현대화 사업 역시 KSP를 통한 정책 컨설팅이 EDCF 융자로 이어진 프로젝트다. 한국과 이집트 정부는 지난 2013년 해당 사업 입안에 나섰고 이듬해 3월까지 KSP의 컨설팅 및 사업 타당성 조사를 실시했다. 이는 지난 2016년 3월 1억 1500만 달러의 EDCF 지원으로 이어졌다. 
모나 이브라힘 이집트 국제협력부 차관보는 이날 "최근 KSP대표단이 이집트에 방문해 지불시스템관련 자문을 진행하는 등 KSP가 이집트의 경제발전에 큰 도움이 되고 있다"며 "컨설팅뿐만 아니라 현장에서 실질적이고 지속가능한 프로젝트로도 이행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hsoh@segye.com

[ⓒ 세계비즈앤스포츠월드 & segyebiz.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