힘찬병원, 인공관절 로봇수술 1000례 달성

[정희원 기자] 힘찬병원이 로봇을 활용한 슬관절 치환술(무릎 인공관절수술) 1000례를 돌파했다고 7일 밝혔다. 지난 6월 목동힘찬병원에 마코 최초도입 후 5개월 만의 괄목할 성과다.

 

힘찬병원은 이후 부평과 강북힘찬병원에 인공관절 수술 로봇을 순차적으로 도입해 총 5대의 로봇수술 시스템을 보유하고 있다. 이번 달에는 부산과 창원힘찬병원에도 각각 1대씩 도입해 연말까지 총 7대의 로봇을 운영할 계획이다.

 

특히 목동힘찬병원은 로봇수술을 시작한 지 한달 여 만에 100번째 환자의 수술을 시행, 세계적으로도 이례적인 기록이라는 평을 받았다. 지난 4일에는 1000번째 로봇 수술을 성공적으로 마쳤다.

◆치료 정확성 ‘쑥’… 출혈 줄이고 인공관절 수명↑

 

힘찬병원이 마코를 도입하고 로봇수술을 활성화한 것은 치료의 ‘정확성’을 높이기 위해서다. 로봇 수술에 나설 경우 환자마다 다른 고유의 해부학적 구조를 반영해 절삭 범위, 인공관절의 크기와 삽입 위치 등에 대한 수술 계획을 미리 세워볼 수 있다. 수술 시에도 뼈를 정밀하게 깎아 주변조직의 손상을 최소화한다.

 

특히 다리 축과 정렬, 인대의 균형까지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정확하게 맞춰준다. 이를 통해 수술 후 통증과 출혈 감소시켜 회복이 빠르고, 운동기능도 향상돼 환자 만족도가 상승한다.

 

실제 힘찬병원 관절의학연구소가 로봇 수술과 일반 수술 환자 각각 500명씩 총 1000명(평균 나이 70세)을 조사한 결과, 로봇 수술이 일반 수술에 비해 출혈이 감소하고, 재활이 더 빠르며, 다리 교정 각도가 더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수술 후 헤모박(피주머니)을 통해 배출되는 혈액 양도 로봇 수술이 평균 198.4㎖로, 일반 수술(평균 235.4㎖)에 비해 37㎖ 더 적었다. 로봇시스템으로 일반 수술 후 출혈량의 약15% 이상을 줄인 셈이다.

 

출혈이 감소하면 추가 수혈에 대한 부담이 적어 수혈에 따른 합병증과 감염위험 등이 낮아지고, 통증을 줄여 회복속도도 당겨준다.

 

또한, 무릎을 구부리고 펼 때의 각도를 확인할 수 있는 ROM(Range of Motion, 관절가동범위)을 조사한 결과, 수술 후 평균 10일 뒤 관절가동범위가 로봇 수술이 평균 120.4도로 일반 수술 평균 114.4도 보다 6도 가량 더 컸다.

 

휘어진 다리의 교정 각도도 로봇 수술이 더 우수했다. 수술 후 다리 각도의 교정 정도는 인공관절의 수명에 영향을 미친다. 로봇 수술은 수술 전 9.3도에서 수술 후 1.9도로, 일반 수술은 수술 전 9.1도에서 수술 후 2.7도로 측정돼 각각 7.4도와 6.5도 교정됐다. 다리 축이 바르게 교정되면 무릎이 체중의 부하를 고르게 받기 때문에 인공관절의 조기 마모를 방지해 수명이 더 늘어날 것으로 예측된다.

 

이수찬 힘찬병원 대표원장(정형외과 전문의)은 “단기간에 로봇 수술 1000례를 달성할 수 있었던 것은 숙련된 의료진의 다양한 임상경험에 로봇의 정확함을 더해 더 좋은 수술결과와 환자 만족도로 이어졌기 때문”이라며 “앞으로도 수술의 성공률과 환자들의 만족도를 더욱 높이기 위해 관절염 치료에 대한 꾸준한 연구와 첨단 시스템 도입을 지속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22일까지 로봇수술 1000례 기념 ‘페이스북 이벤트’

 

한편, 힘찬병원은 로봇수술 1000례를 기념, 22일까지 온라인 이벤트도 진행한다. 힘찬병원 페이스북에 접속해 이벤트 게시글에 친구를 태그하고 축하 댓글을 남기면 응모가 완료된다. 추첨을 통해 총 5명에게 케이크 교환권을 증정하며, 당첨자는 오는 23일 힘찬병원 페이스북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happy1@segye.com

[ⓒ 세계비즈앤스포츠월드 & segyebiz.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