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플러스, 15개 점포 순차 폐점…긴급 생존경영 체제 돌입

본사 임직원 중 희망자에 한해 무급휴직 진행
“인가 전 M&A가 살 길…정부 정책적 지원 절실”

홈플러스가 15개 점포 폐점, 본사 임직원 무급휴가 등 긴급 생존경영 체제를 선언했다. 서울 동대문구 홈플러스 동대문점. 김두홍 기자

홈플러스가 13일 전사적인 긴급 생존경영 체제에 돌입한다고 공식 발표했다. 임대료 조정 협상에 진전이 없는 15개 점포를 순차적으로 폐점하고, 본사 임직원을 대상으로 무급휴직 제도를 시행한다.

 

홈플러스는 이날 입장문을 내고 “인가 전 인수합병(M&A)이 성사될 때까지 자금 압박을 완화하고 회생 기반을 다지기 위해 이 같은 내용의 전면적인 자구책 시행에 나서기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홈플러스에 따르면 지난 3월 4일 회생절차가 개시된 이후 일부 대형 납품업체들이 정산주기를 단축하거나 거래한도를 축소하고, 선지급과 신규 보증금 예치를 요구하는 사례가 늘어나 자금상황이 악화됐다.

 

홈플러스는 또 “지난달 전 국민 대상 민생지원금 사용처에서 전례에 따라 대형마트가 포함되지 않아 최근 매출 감소폭은 더욱 확대됐다”며 “회생절차 중인 기업의 특성상 외부 차입이 어려운 상황에서 이러한 매출 감소는 곧바로 자금 유동성 압박으로 이어지고 있다”고 전했다.

 

이에 따라 홈플러스는 전체 68개 임대 점포 가운데 임대료 조정 협상에 진전이 없는 15개 점포에 대한 순차적 폐점을 진행하기로 했다. 대상 점포는 시흥점, 가양점, 일산점, 계산점, 안산고잔점, 수원 원천점, 화성동탄점, 천안신방점, 문화점, 전주완산점, 동촌점, 장림점, 부산감만점, 울산북구점, 울산남구점 등이다.

 

홈플러스는 또 다음달 1일부로 본사 전 직원을 대상으로 희망자에 한해 무급휴직을 시행한다. 3월부터 시행 중인 임원 급여 일부 반납 또한 회생 성공 시까지 연장하기로 했다.

 

조주연 홈플러스 공동대표는 이날 전 임직원에게 보낸 메시지를 통해 “지금과 같은 상황이 지속된다면, 인가 전 M&A를 통한 회생 자체가 위태로워질 수 있는 절체절명의 위기”라며 “더 이상 미룰 수 없어 최후의 생존경영에 돌입하게 됐다”고 언급했다.

 

홈플러스는 “회생절차 이후 발생한 상거래채권은 모두 공익채권으로 분류돼 법적으로 우선 변제 대상에 해당한다”며 “거래 안정성이 보장된 만큼, 정산주기와 거래한도 정상화, 보증금·선지급 조건의 조정 등 협력사와의 상생 복원이 절실하다”고 강조했다.

 

또한 “이번 위기는 단순한 유통기업의 경영 이슈가 아닌, 민생경제와 고용안정에 직결되는 문제”라며 정부의 정책적 관심과 지원을 요구했다.

 

홈플러스는 지난달 30일 조기 정상화와 인가 전 M&A 성사를 바라는 임직원 및 협력사 직원 2만2000여명의 호소문을 대통령실에 전달한 바 있다.

 

안수용 마트노조 홈플러스지부장은 “홈플러스의 긴급 생존경영 체제 돌입은 대주주인 MBK파트너스의 자구노력이 전혀 없는 채 또다시 회사를 쥐어짜는 것”이라며 “홈플러스의 브랜드 가치는 전국 각지에서 운영되는 매장에 있는데, 이들 매장을 포기한다는 것은 곧 홈플러스를 포기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화연 기자 hylee@segye.com

[ⓒ 세계비즈앤스포츠월드 & segyebiz.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