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학규ㆍ김두관 "투표기회 박탈, 모바일투표 중단해야"

민주통합당이 대선후보 경선에 도입한 모바일투표가 `5회 통화 시도' 규정 준수 여부를 둘러싼 공방으로 또다시 논란에 휩싸였다.

민주당 모바일투표 검증단은 5일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제주와 울산의 모바일투표 내역을 분석한 결과, 두 지역에서 `기권' 처리된 유권자 2만4396명의 15.0%인 3653명은 모바일투표 대행업체에서 발신한 5통의 전화를 최소 1번에서 최대 5번까지 수신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연합뉴스에 따르면 불수신 횟수별로 살펴보면 1번이 1천310명으로 가장 많았고, 2번이 711명, 3번이 464명, 4번이 272명, 5번 모두 수신하지 못한 유권자는 122명으로 집계됐다.

지역별로는 제주경선 기권처리자의 17.7%, 울산경선 기권처리자의 14.7%에 해당하는 규모다.

민주당 대선후보 선출 당규는 모바일투표와 관련해 5회의 ARS 전화 발송에도 불구하고 투표가 완료되지 않으면 해당 선거인은 기권한 것으로 규정하고 있다.

이에 대해 선관위 간사인 김승남 의원은 "대행사에서 5번에 걸쳐 통화 시도를 한 것은 확인됐다"며 "유권자 입장에서 수신이 안되는 경우는 음영지역 등 통화권 이탈이나 휴대전화가 꺼진 상태, 수신 거부 상태에 있었기 때문"이라고 해명했다.

김 의원은 "통화를 시도했느냐, 하지 않았느냐는 문제가 될 수 있지만 (수신자에게) 몇 번 갔느냐는 모바일 (기술의) 특성상 나타나는 문제다"며 "민주당 선거 입장에서 보면 문제 제기할 수 있는 상황은 아니다"라고 강조했다.

그러나 손학규ㆍ김두관 후보 측은 "투표기회를 박탈한 중대사태"라며 남은 순회경선 일정은 예정대로 진행하되 모바일투표 중단과 기존 투표결과 재조사, 임채정 선관위원장 사퇴 등을 요구했다.

손 후보 선대위는 성명에서 "일반투표 방식에 비유한다면 유권자에게 투표용지를 배부하지 않은 결정적 오류로 정당한 유권자의 투표권을 박탈한 심각한 사태"라고 주장했고, 김 후보 캠프도 "만약 오류가 지금도 지속되고 있는 것이라면 투표의 정통성이 근본적으로 부정되는 중대사태"라고 밝혔다.

정세균 후보 선대위는 성명을 통해 "정치적 의도가 개입돼 있다고 보지는 않지만 경선의 공정성과 투명성에 상처를 줬다"며 "당은 드러난 기술적 문제에 대해 신속히 보완하고 치유하라"고 촉구했다.

문 후보 캠프의 문용식 온라인대변인은 "특정 후보에게 유불리가 있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재투표 실시 등 선관위와 각 후보측이 합의하면 그 결과를 따를 생각"이라고 말했다.

세계파이낸스 뉴스팀 fn@segyefn.com

[ⓒ 세계비즈앤스포츠월드 & segyebiz.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