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소차 시대 <下> ] 충전소 확대·일원화된 컨트롤타워 필요

국내 수소 충전소 14곳 불과… 민간분야 투자 통해 충전소 수 늘려야
수소유통센터 설치해 수소 수급·물류·정보 체계적으로 관리해야

수소차 인천충전소. 사진=현대차

[세계파이낸스=주형연 기자]  수소차가 전 세계적으로 각광받으면서 수소차시장 선점경쟁이 치열하다.

수소차 시장에서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서는 충전소 구축과 보조금 지원, 일원화된 컨트롤타워 구축 등 해결해야 할 과제가 많다.  

◇ 국내 수소차 충전소·보조금 해결 시급

현재 국내에서 수소 충전소는 14곳에 불과하다. 서울에는 단 2곳 뿐이다. 정부가 2022년까지 전국적으로 최대 310개소 수소 충전소를, 2040년까지는 1200개 충전소를 확충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수소충전소 한 곳이 설치되려면 20억~50억원의 비용이 들기에 전국적으로 1200개 충전소를 확충할 수 있을지 의문이라는 반응이다. 정부 외 민간분야에서 투자하지 않으면 충전소 확대는 한계에 부딪힐 것이라는 지적이다.

이안나 BNK투자증권 연구원은 "현재 국내에서 충전소 설치 기술을 가진 기업이 없다"며 "최근 특수목적법인(SPC) 하이넷이 2022년까지 전국 최대 310개소의 수소충전소를 구축키로하고, 규제 샌드박스로 서울 도심내 수소충전소가 설치되는 것은 반길 일이다"고 평가했다.

또 정부의 보조금이 없다면 수소차가 성장하기엔 무리가 있다. 현재 수소차는 최대 660만원의 세제 감면(개별소비세 400만원, 교육세 120만원, 취득세 140만원)을 받을 수 있다. 공영주차장 주차료 50% 할인, 고속도로 통행료 50% 감면 등 각종 혜택도 제공된다.

정부가 보조금을 지원해 수소차 4000대를 신규 보급하고 2022년까지 누적 보급량을 8만대로 확대하려하지만, 수소차에 대한 보조금이 초반에 대규모로 들어가야하기에 부담으로 작용할 수 있다.

류연화 한화투자증권 연구원은 "수소차가 만약 전기차에 밀려 시장이 형성되지 않는다면 정부의 보조금 없이 살아남기 힘들 수 있다"며 "초반에 수소차 인프라 구축을 위해 들인 막대한 자금들을 회수하기 어려울 수도 있다"고 분석했다.

◇ '유통센터' 구축해 체계적으로 수소 공급해야

수소유통센터(가칭)를 구축해 체계적으로 수소를 공급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갖추는 것도 주요 과제다.

전문가들은 수소가격을 안정화시키고 수소 유통 및 거래를 확산하려면 수소유통센터를 설치해 수소의 수급·물류·정보를 체계적으로 관리할 필요가 있다고 진단했다. 지역별 수소 생산 및 운송 비용을 최소화하는 것도 필요하다. 판매용 수소의 수급 동향과 지역별 가격차이 등에 대한 정보도 공유해야 한다.

이에 정부는 중장기적으로 수소경제 산업육성을 전담할 전문기관 설치를 검토 중이라고 밝혔다. 현재 민관협의체인 수소융합얼라이언스추진단이 활동 중이지만 에너지공단, 에너지기술평가원 등에 기능이 분산돼 있어 역할이 제한적이기 때문이다.

산업통상자원부 관계자는 "수소경제 활성화 로드맵의 구체적인 이행을 위해 이행계획을 법제화시키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한다"며 "범부처 수소경제추진위원회를 구성해 앞으로 이행계획을 다듬어 가겠다"고 말했다.

산업 관련 연구기관의 한 연구위원은 "현재 우리나라는 수소차를 생산하는 것 외에 저장·운송·충전 등 나머지 분야에 대한 대비가 부족하다"며 "구체적인 시스템을 구축해 대응할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다.

이낙연 국무총리가 지난 1월 30일 경기도 화성시의 현대차 남양기술연구소를 방문해 정의선 현대자동차그룹 수석 부회장과 수소연료전지차에 시승해 있다. 사진=연합뉴스

◇ 효율적인 지원 · 일원화된 컨트롤타워 필요

수소경제 컨트롤타워가 없는 것도 문제점으로 지적된다. 현재 수소차 완성차뿐만 아니라 충전소 보급 계획 등을 갖고 있지만 관련 부처들이 환경부와 산업부 등으로 나뉘어 있어 비효율적이란 지적이다. 이를 통합할 컨트롤타워가 필요한 셈이다.

지금까지 환경부의 수소차 계획 중 일부 내용과 국토부 내용이 비슷하다. 2022년까지 수소버스 2000대를 보급한다는 계획은 산업부와 국토부가 똑같다. 산업부가 밝힌 주요거점 대도시 내 수소충전소 310기 설치 내용에는 국토부의 고속도로 충전소 60기가 포함돼 있다.

이에 전문가들은 정부가 수소차 기술개발 및 지원에 대한 일원화 작업이 필요하다고 입을 모은다. 친환경성과 경제성 등을 종합적으로 분석해 일관된 로드맵을 작성해야 한다는 것이다.

업계 관계자는 "최근 정부에서 컨트롤타워를 만든다고 발표했다. 각 부처가 협력하면서 최종 목표 이행에 필요한 업무를 잘 수행한다면 정권이 바뀌어도 수소경제 정책이 잘 이뤄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또 일각에선 수소차 폭발 위험성에 대해 문제를 제기하고 있지만 수소차 및 수소충전소는 안전하다는 게 전문가들의 설명이다. 수소차가 충돌해 연료탱크가 터지면 폭발하는 게 아니냐는 질문이 많지만 수소를 담고 있는 연료탱크가 쉽게 깨지지 않는데다 수소폭탄과 달리 수소차는 핵분열 및 핵융합으로 내부가 이뤄져 폭발할 위험이 거의 없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현대자동차 관계자는 "수소저장탱크는 파열·화염·낙하시험 등 총 14개 테스트를 거쳐 만들어진다"며 "다른 연료보다도 안전성은 확보돼 있다"고 설명했다.

이호근 대덕대학교 자동차학과 교수는 "수소차에 대한 안전 문제를 많이 우려하지만 안전장치가 이중 삼중으로 마련돼 있어 큰 문제가 되진 않을 것"이라며 "미국이나 일본 등 선진국은 일부 수소충전소를 운영하고 있지만 다양한 안전장치들이 마련돼 걱정할 사항은 아니다"라고 말했다.

jhy@segye.com

[ⓒ 세계비즈앤스포츠월드 & segyebiz.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