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 성장률 둔화, 한국에 직격탄되나…한은 스탠스는?

 

미중 무역전쟁과 미국 기준금리 인상 여파로 일본이 마이너스 성장률을 기록하는 등 아시아지역 성장률 둔화세가 두드러지고 있다.

이에 따라 이미 성장 둔화 경로에 들어선 우리나라 경제에 추가 타격이 우려된다.

15일 금융권 및 외신 등에 따르면 3분기 중국과 일본은 물론 아세안지역 국가들까지 전망치를 밑도는 성장률을 보이고 있다.

14일 일본이 발표한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은 전기 대비 -0.3%, 전년 동기대비로는 -1.2%를 기록했다.

이 기간 중 무역전쟁의 당사국인 중국은 애초 6.7%를 목표로 했으나 6.5%로 줄었다. 그것도 올 들어 중국 인민은행이 4차례에 걸친 지급준비율 인하를 단행했기 때문에 완화된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아세안 국가들도 성장 둔화는 예외가 아니다. 필리핀의 경우 1분기 6.6% 성장률을 보이다 3분기 들어 6.1%로 줄었고 인도네시아도 5.3%에서 5.2%로 감소했다.

문제는 아시아지역 중 중국이 우리나라의 수출 비중 1위, 아세안이 2위 지역이라는 점이다.

수출 1위, 2위 지역의 성장이 둔화한다면 당연히 우리나라의 수출도 줄어들 수밖에 없고 수출주도형 경제시스템인 우리나라 성장률에도 좋지 않은 영향을 주기 때문이다.

둔화하는 내용을 조금 더 세부적으로 분석하면 상황은 더 심각해 보인다.

전자제품 등 글로벌 제조공장은 중국과 아세안지역에 집중되고 있는데 이 분야가 관세폭탄의 영향을 직접 받고 있기 때문이다.

이들 지역에 반도체를 비롯한 여러 주요 부품을 공급하고 있는 우리나라로서는 2차 타격이 우려된다.

더욱이 아시아지역 국가들 대부분이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연준·Fed)의 연속적인 기준금리 인상으로 적지 않은 영향을 받고 있는 상황이다.

미국의 고금리 추세에 따라 이들 국가에서도 통화정책 정상화가 진행되면서 소비가 줄어드는 상황이 벌어지고 있다고 외신은 전하고 있다.

이럴 경우 우리나라의 소비재 완제품 수출이 예전보다는 어려워질 것이 분명하다.

이에 따라 적극적인 통화정책 정상화에 대해서는 예전에 비해 더 숙고해야 할 시점이 된 것으로 전문가들은 보고 있다.

한국은행으로서도 금융불균형과 완화정책의 유지 사이에서 고민할 때가 아니라 통화정책의 페이스 조절에 포인트를 맞춰야 할 때가 됐다고 시장 관계자들은 밝히고 있다.

임정빈 선임기자 jblim@segye.com

[ⓒ 세계비즈앤스포츠월드 & segyebiz.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