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금리 인상움직임에 亞중앙은행들 초긴장…한국은?

 

미국 기준금리 인상을 앞두고 신흥국 불안이 재연되면서 아시아 주요국 중앙은행에 비상이 걸렸다.

루피화가 사상최저치를 기록한 인도의 경우 금융시장이 불안정한 흐름을 보여주고 있고 중국은 적색경보를 내며 대규모 완화정책을 펴고 있다.

반면 일본은 평온한 가운데 펀드멘털을 챙기고 있고 한국은 중앙은행의 여력이 없어 모니터링에 주력하는 모양새다.

◇발등에 불끄기 바쁜 중국과 인도 중앙은행

10일 금융권 및 외신 등에 따르면 신흥국 금융시장 불안으로 인해 인도 루피화가 사상 최저치를 기록하는 등 불안한 양상을 보이고 있다.

인도 중앙은행은 외환시장의 다급함에도 불구하고 외환시장 개입에 신중한 모드를 유지하고 있다. 중앙은행의 정책 목표가 통화 가치의 적정수준 유지보다는 변동성을 줄이는데 맞춰져 있기 때문이다.

더욱이 통화정책의 정상화보다는 기준금리 동결을 통한 완화정책의 유지에 주력하는 분위기인 것으로 전해진다. 이에 따라 인도 중앙은행은 미국 기준금리 인상을 앞두고 대외적인 위험에 상당한 리스크를 감지하고 있으나 공개시장조작이나 금리 인상 등의 조치를 본격화하지는 않을 것으로 관측되고 있다.

미국과 무역분쟁에 돌입한 중국은 아예 대대적인 완화정책을 펴고 있다.

10일 중국 금융안정발전위원회는 모든 종류의 블랙스완에 대비하기 위해 통화정책을 미세조정할 것이라는 입장을 밝혔다.

중국 인민은행도 지난 7일 중기유동성지원창구(MLF)를 통해 1765억위안(약 29조247억원)을 공급한다고 밝힌 바 있다. 30조원 규모의 대규모 유동성을 공급한 셈이다.

더욱이 인민은행이 지난주 말 발표한 올해 8월의 외환 보유액은 상당한 감소세를 보여 공개시장조작에 들어간 것이 아닌가 하는 의혹도 제기되고 있다.

하지만 중국 통화당국은 이를 통해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의 기준금리 인상에 대비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관망모드 들어간 한국과 일본…속내는 달라도 경제살리기가 우선

한국과 일본 중앙은행의 입장은 다급하게 움직이는 중국이나 인도의 통화당국과는 다른 편이다.

일본은행(BOJ)의 경우 기존의 완화정책을 지속할 것으로 보인다. 아베노믹스의 근간이 대규모 완화정책이었던 만큼 미국 기준금리의 인상에도 불구하고 별다른 정책 수정이 없을 것이라는 관측이 우세하다.

일본은행이 금리나 지준률에서 변화를 일으키는 등 새로운 정책을 내놓으려면 펀더멘털이 크게 변화할 때만 가능하다는 분석도 나온다.

일본은행은 오히려 일본 및 세계경제의 성장률이 낮아질 가능성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는 보도도 나오고 있다.

한국의 경우 미국과의 금리차이가 커진다는 부담에도 불구하고 고용과 소비, 투자 부진이 발목을 잡는 형국이다.

지난해에 약간 무리를 해서라도 기준금리를 올렸다면 여력이 있었겠지만 지금으로서는 금리에 섣불리 손대기가 상당히 어려워지고 있는 분위기이다.

만약 지난달 3조원이 넘게 국내 증시로 유입된 외국인 자금이 썰물처럼 빠져나가거나 부동산 오름세를 잡아야 할 절체절명의 정책적 목표가 주어진다면 이야기는 달라진다.

현재로서는 북한 리스크가 줄어들 가능성이 커 외인자금이 줄어들 공산이 크다. 그리고 부동산 잡기를 위해 기준금리를 인상한다는 것은 모든 경제주체에 부담을 안기는 것이어서 쉽게 단행하기는 어려운 일이다. 올해 경제성장률이 3%에서 2.9%로 낮아졌고 2.8%까지 줄어들 수도 있기 때문이다. 시장 일각에서는 금리를 오히려 인하해야 한다는 주장도 제기되는 것이다.

임정빈 선임기자 jblim@segye.com

[ⓒ 세계비즈앤스포츠월드 & segyebiz.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