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완화정책…무역전쟁보다 차이나리스크가 우려되는 이유

출처=게티이미지뱅크
"중국이 대규모 양적완화를 추진하는 것이 과연 미중무역 분쟁에 대비하기 위한 것일까.“

미국이 적극적인 긴축정책을 펴고 있는 마당에 중국이 돈을 풀고 있는 것은 당연히 미중무역전쟁에서 미국에 맞서려는 대응책으로 보인다.

하지만 그보다는 중국경제의 상황이 예상보다 좋지 않아 어쩔 수 없이 선택한 고육책이라는 주장도 제기되고 있다.

최근 수년간 대규모 기업구조조정과 금융구조조정이 진행되면서 피로가 누적되고 결국 신용위축과 경기침체라는 큰 벽에 봉착하게 된 것으로 전문가들은 보고 있다.

이에 따라 우리의 대응도 쉽지 않을 전망이다. 단순히 미국 금리 인상과 미중갈등 만이 아니라 중국 경기 후퇴와 완화정책이라는 새로운 변수를 고려해야 하기 때문이다.

◇신용위축과 경기하강에 봉착한 중국경제

26일 금융권과 외신 등에 따르면 글로벌IB들은 일제히 중국 인민은행이 올해 안에 완화정책을 계속 추가할 것으로 전망했다.

인민은행이 내달 5일 지급준비율 인하를 통해 7000억 위안의 자금을 시장에 풀기로 했다. 이것도 이미 시장예측을 벗어난 것이지만 추가로 완화정책이 더 이뤄질 것이라는 전망은 중국 상황이 불안하다는 것을 전제로 한 것이어서 주목된다.

노무라증권 애널리스트들은 "중국의 지준인하에도 불구하고 경기 하강을 막기 어려울 것"이라면서 "앞으로 여러 차례 지준인하가 이뤄질 것"이라고 밝히고 있다.

다른 증권분석가는 "중국 인민은행의 지준 인하로는 현재 어려워진 경제상황을 돌려놓기는 어렵기 때문에 지준이 아닌 다른 양적 완화정책을 펼 가능성도 적지 않다"는 분석도 내놓고 있다.

JP모건은 "인민은행의 지준 인하는 구조조정과 경제 살리기라는 두 가지 상반된 정책목표 사이에서 절충점을 찾은 고육책"이라는 평가를 내놓기도 했다.

실제로 올들어 중국기업들은 늘어나는 부채와 함께 부도가능성이 어느 때보다 커진 것으로 전해진다.

◇국내 거시정책에도 '차이나리스크' 고려할 때

연초만 해도 경제성장률이 3%를 넘어설 것으로 보이던 우리 경제도 고용과 소비 및 설비투자 등의 부진으로 쉽지 않은 국면을 맞고 있다.

그런 와중에 중국발 충격이 가시화되는 것이 바람직하지 않은 것은 당연하다.

많은 품목에서 경쟁적 관계로 돌아서기는 했지만 우리나라의 수출에서 중국이 차지하는 비중은 아직도 크다. 그런 만큼 중국경기의 침체는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밖에 없다.

더욱이 중국의 완화정책의 영향으로 위안화 가치는 하락할 수밖에 없는 것이 문제다.

무역전쟁의 와중에 환율전챙까지 겹치게 된다면 이제 침체를 벗어나 3%성장으로 3만달러 시대를 열고자 하는 우리나라 정책목표가 흔들릴 수도 있다.

미국발 금리 인상 리스크만이 아니라 중국발 리스크가 과연 현실화될 지에 관심을 갖고 대비해야 할 시점으로 보인다.

임정빈 선임기자 jblim@segye.com

[ⓒ 세계비즈앤스포츠월드 & segyebiz.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