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드사태후 10년(下)] 빅데이터·정보보호 등 화두로

올해 빅데이터활용 본격화…정보보호 관심 '업'
체크카드 및 모바일카드 확산세 주목

''빅데이터'' ''개인정보보호'' ''체크카드 비중 확대'' 그리고 ''모바일카드'' 등은 향후 국내 카드업을 분석하는 주요 열쇳말이다.

성장성에 한계에 봉착한 카드업계에선 빅데이터 활용을 통한 보다 정교한 고객 공략에 나섰다. 올해 초엔 카드사 개인정보유출 사고가 전(全)금융권을 강타하면서 고객개인정보관리의 중요성이 더욱 부각됐다. 금융당국의 체크카드 활성화 정책을 적극 밀어붙이면서 전체 카드 사용금액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증가세다. 스마트폰 보급 확산과 IT기술의 발달으로 ''편의성''이란 장점을 지닌 모바일카드의 확산 여부도 여전히 화두다.

21일 업계에 따르면 카드업계는 빅데이터를 활용한 성장모델을 만드는 데 고심하고 있다.

우선 신한카드는 지난해 말 업계 최초로 빅데이터센터를 구축했다. 지난 5월엔 자사 회원 2200만명의 빅데이터를 활용, 이를 특정 소비유형 18가지로 분류한 새 상품 개발 체계 ''코드 9(나인)’을 론칭했다. 삼성카드는 맞춤형 가맹점 할인혜택을 제공하는 ''링크'' 서비스를 선보이고 있다. 고객의 소비성향을 분석해 각기 다른 할인 및 포인트 적립 혜택을 자동으로 연결한다. 하나SK카드가 지난 2012년부터 서비스 중인 ''겟모어앱(現 모비박스에 통합)''은 고객의 카드결제에 따른 경품제공 과정에서 제휴 가맹점의 광고를 노출하는 식으로 수익을 올린다. BC카드는 지난달 빅데이터를 활용한 ''체크카드 전용 FDS''를 구축했다.

카드사의 고객개인정보관리도 화두로 떠올랐다. 올해 초 KB국민·농협·신한카드에서 1억건이 넘는 사상 최악의 고객개인정보 유출사고와 일부 카드사의 앱카드 명의도용사고 등이 결정적 계기다. 업계는 내부 보안 시스템을 강화하고 IC단말기의 전환 보급을 서두르고 있다.

체크카드의 폭발적인 성장세도 눈여겨볼 대목이다.

체크카드 발급장수는 지난해 말 기준 1억 701만장을 기록하며 신용카드(1억 202만장)를 처음으로 앞질렀다. 전년 동기 대비 승인액 증가율도 지난해 11월 이래 20%대의 높은 수준을 유지 중이다. 이날 여신금융협회에 따르면 지난달 전체 카드승인금액 대비 체크카드 승인금액 비중은 19.5%를 기록, 20%대에 육박했다. 금융당국이 적극적인 체크카드 활성화 정책을 강력히 추진 중인 가운데 지난달 정부가 체크카드 소득공제율을 40%까지 재인상한 점도 향후 성장세가 기대되는 요인이다. 체크카드?조달 및 손실비용이 없는 데다 장기고객 확보를 통한 간접비 절감 효과 등을 장점에도, 카드대출 및 연회비 수입을 기대할 수 없다는 게 카드사로선 아쉬운 대목이다.

모바일카드 보급 확산 여부도 화두다. 스마트폰 보급율 증가와 IT 및 통신 기술 향상으로 카드 결제의 편의성 및 효율성에 관심이 높아지는 점도 이와 궤를 같이 한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일평균 모바일카드 결제액은 도입 초기인 2007년 중 5000만원에 불과했다. 그러던 게 지난해에는 일평균 결제액 규모가 26억 1000만원까지 늘었다. 이 기간 동안 전체 카드금액 중 차지하는 비중은 0.01%에서 0.16%로 늘었다. 모바일카드는 크게 카드사 서버를 이용한 앱방식과 모바일기기 내 유심(USIM)칩을 이용한 IC방식으로 나뉘는데, 지난해 4월 앱방식 모바일카드이 본격 보급된 게 이용 증가의 결정적 계기다. 다만 모바일카드 지원 가맹점의 비중이 여전히 낮은 데다 실물 플라스틱카드 보유 고객에 대해서만 발급이 허용되는 규제 등은 여전히 모바일카드 보급을 막는 장애요인으로 지적된다.

오현승 기자 hsoh@segye.com

[ⓒ 세계비즈앤스포츠월드 & segyebiz.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