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뷰] 서정학 기업은행 기술금융부장

기술금융 선도은행 노린다…"한때 유행 그치지 않을 것"
기업과 은행의 ‘윈윈’ 가능

(서정학 기업은행 기술금융부장)
‘박근혜 정부’ 탄생 이후 ‘창조경제’가 국가경제의 새로운 어젠다로 자리잡고 있다.

이와 관련, 금융권에서는 ‘창조금융’의 일환으로 특히 ‘기술금융’이 뜨는 분위기다.

국내은행 가운데 가장 적극적으로 ‘기술금융’을 추진하고 있는 IBK기업은행의 서정학 기술금융부장은 “기술금융은 결코 한 때의 유행이 아니다”면서 “기업과 은행이 ‘윈윈’할 수 있는 유력한 방안”이라고 강조했다.

▲‘기술금융’, 특히 ‘기술평가 대출’의 개념에 대해 간단히 설명한다면?

주로 차주의 담보와 신용등급 등을 평가해 대출 여부와 금리 등을 결정하던 기존의 대출관행에 새로운 평가요소로 기업의 ‘기술’을 넣는 것이다.

기업이 가진 기술의 우수성과 시장성을 판단함으로써 여신심사과정을 더 정교히할 수 있다.

▲기술평가 대출이 도입된 계기는?

‘박근혜 정부’의 ‘창조경제’ 어젠다에서 비롯됐다. ‘창조금융’의 본질이 곧 ‘기술금융’이다.

특히 기업은행은 담보력은 부족하지만 기술력은 우수한 중소기업을 돕는다는 취지하에 적극적으로 ‘기술금융’을 전개하고 있다.

▲기술평가 대출은 어떤 과정을 거쳐 이뤄지나?

먼저 기업이 각 영업점을 통해 대출과 기술평가를 외뢰한다. 이를 받아 본점 기술금융부에서 해당 기업의 기술평가를 실시, ‘탁월’, ‘우수’, ‘보통’, ‘미흡’, ‘부족’의 5단계로 나눠 평가한다.

이어 좋은 평가를 받은 기업에 대해 다시 해당 영업점이 대출을 실행하는 것이다. 때로는 본점 투자금융부에서 지분투자를 추진하기도 한다.

▲현재까지 기술평가 대출 실적은?

기업은행은 지난해 7월 처음으로 IB지원부 내 기술금융팀을 만든데 이어 올해 2월에는 아예 IB지원부의 명칭을 기술금융부로 바꾸고 34명의 인력을 배치하는 등 ‘기술금융’에 공을 들이고 있다.

지난해 9월 처음으로 기술평가 대출을 실시했으며, 올해 5월말까지 8개월 간 81개 업체에 총 2500억원을 대출해줬다.

▲요새 지식재산권(IP) 담보대출이 뜨는 분위기던데?

IP담보대출도 기술평가 대출의 일종으로 특허청 및 한국발명진흥회와 협력해 진행한다.

기업의 특허권 등에 질권담보를 걸고 대출을 실행하기 때문에 기업은 신용대출보다 금리가 낮아져서 좋고, 은행은 안정성이 더 높아져서 좋기에 각광을 받고 있다.

기업은행은 지난 4월 1일 IP담보대출을 출시해 5월말까지 13개 업체에 총 90억원을 빌려줬다.

▲기술력이 곧 매출로 연결되는 것은 아닌데, 혹 관련 리스크는 없나?

이 부분에 대해서 우리도 세밀하게 살펴본다. ‘

먼저 기업은행의 기술평가업무취급지침에 따라 현장실사, 시장조사, 산업분석자료 연구 등을 통해 해당 기업이 지닌 기술의 우수성과 시장성 등을 판단한다.

무엇보다 그 기술이 과거에 어느 정도 매출 신장에 기여했는지, 혹 새로운 기술이라면 앞으로 얼마나 매출 신장에 기여할 수 있는지 등을 엄밀하게 따져 대출을 실행한다.

단지 기술평가만으로 대출해주는 것이 아니라 기존 평가항목인 담보, 신용등급 등에 기술도 같이 포함해서 기업의 상환능력을 평가하므로 리스크는 매우 낮은 편이다.

▲기술평가 대출이 기업 입장에서는 환영할 것 같은데, 은행 입장에서도 좋은 방식인가?

물론이다. 기업과 은행이 서로 ‘윈윈’할 수 있을 거라고 확신한다.

우선 기업의 경우 담보력이 부족한 중소기업도 기술만 우수하면 저비용으로 자금을 조달할 수 있으니 당연히 환영한다.

은행 입장에서도 기술평가로 관련 노하우를 쌓고, 신용리스크를 오히려 더 낮출 수 있다.

무엇보다 포화된 국내시장에서 기술금융이 ‘새로운 먹거리’로 작동할 수 있는 점이 더 크다. 철저한 기술평가를 통해 우수한 기술을 갖춘 중소기업을 발굴한 뒤 여신과 투자 등으로 적극 지원하면, 기업의 성장과 더불어 기업은행과의 금융거래가 더 증가하고, 투자한 지분에서 배당금을 받는 등 많은 이익을 기대할 수 있다.

▲기술금융의 미래에 대해 한 마디 한다면?

분명한 것은 기술금융이 한 때의 유행으로 끝나지는 않을 거란 점이다.

우리는 기술금융이 새로운 트렌드이자 미래 대출문화의 한 축으로 뿌리를 내릴 거라 믿는다. 약 20만 개에 달하는 국내의 모든 제조업체들이 기술금융을 활용한다면, 기업과 은행 양측에 다 큰 도움이 될 것이다.

따라서 앞으로 기술금융부를 더 확대하고, 더 많은 기업에 기술평가 대출이나 지분투자 등 금융지원을 제공할 계획이다. IP담보대출도 이번 한도액(500억원)이 소진된 후 끝내는 것이 아니라 새로운 협약과 새로운 자금 마련을 통해 꾸준히 시도할 것이다.

이를 위해 테크노파크나 서울대 기술지주와 업무협약(MOU)을 맺는 등 다방면으로 노력하고 있다.

기업은행이 금융권에서 기술금융 선도은행으로 자리 잡는 것이 목표다.  

안재성 세계파이낸스 기자 seilen78@segyefn.com
[ⓒ 세계비즈앤스포츠월드 & segyebiz.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