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권, 쌓인 부실채권 매각 나서…고정이하여신 비율은 ↑

서울 시내 한 은행 대출업무 창구. 뉴시스

 

 5대 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의 연체율이 일제히 상승했다. 대기업보다는 중소기업이 높은 연체율을 기록했으며, 자산 건전성 또한 악화한 것으로 나타났다.

 

 각종 금융지원 정책 효과가 끝나면서 연체율이 상승하는 등 코로나19 이전으로 돌아가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28일 금융권에 따르면 5대 은행의 올해 1분기 말 기준 단순 평균 대출 연체율은 0.32%로 집계됐다. 이는 전년 동기(0.27%)와 전 분기(0.29%)보다 눈에 띄게 높아진 수치다.

 

 부문별로 보면 기업의 대출 연체율이 확연히 나빠졌다.

 

 기업 대출 연체율은 지난해 1분기 말 0.30%에서 4분기 말 0.31%로 소폭 상승한 뒤 올해 1분기 말 0.35%로 뛰었다. 

 

 이 기간 중소기업의 경우 각각 0.34%, 0.37%, 0.41%였고, 대기업은 0.03%, 0.05%, 0.07%로 연체율이 올랐다.

 

 가계 대출 연체율은 지난해 1분기 말과 4분기 말에 각각 0.24%, 0.26%에서 올해 1분기 말 0.28%로 상승했다.

 

 시중은행 관계자는 “저금리로 유동성이 풍부했던 코로나19 펜데믹 기간에는 연체율이 낮아졌다가 다시 금리가 오르면서 코로나19 이전 상황으로 돌아간 것”이라고 말했다.

 

 가계와 기업의 자금난이 가중되면서 은행권 자산 건전성도 악화됐다. 은행권은 자산 건전성 유지를 위해 부실 채권을 상각 또는 매각에 나섰다. 은행들은 3개월 이상 대출 원리금 상환이 연체된 채권을 고정 이하 등급의 부실채권으로 분류해 별도 관리하다가 회수 가능성이 낮다고 판단되면 떼인 자산으로 간주한다. 이후 장부에서 아예 지우거나(상각), 자산 유동화 전문회사 등에 헐값에 파는 매각 방식으로 처리한다. 

 

 5대 은행은 올해 1분기에만 1조6079억원 상당의 부실 채권을 상각하거나 매각했다. 지난해 1분기(8536억원)보다 88.4% 늘어난 규모다. 

 

 지난 2022년 1분기(4180억원)와 비교하면 상·매각 규모는 불과 2년 새 4배 가까이 급증했다.

 

 하지만 차주들의 연체가 급증하면서 은행권의 상·매각보다 더 빠르게 부실 채권이 쌓이고 있다. 

 

 5대 은행의 올해 1분기 말 기준 단순 평균 고정이하여신 비율은 0.28%로 지난해 1분기 말의 0.27%보다 0.01%포인트(p) 상승했다.

 

 가계 부문은 0.17%에서 0.18%로, 기업 부문은 0.31%에서 0.33%로 고정이하여신 비율이 확대됐다. 

 

 은행 관계자는 “고정이하여신 비율이 높다는 건 전체 자산의 질이 안 좋아지고 있다는 것으로 해석 가능하다”고 말했다. 

 

이주희 기자 jh224@segye.com

[ⓒ 세계비즈앤스포츠월드 & segyebiz.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