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금리인상 가속화로 신흥국 위기 확산시 韓경제 타격

지난 13일(현지시간) 미국 뉴욕증권거래소(NYSE) 입회장의 TV 스크린에 제롬 파월 연방준비제도(Fed) 의장의 기자회견 모습이 비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현대경제연구원은 미국 금리 인상 가속화로 외국인 자금 유출 가능성이 있다며 신흥국 위기가 전반으로 확산될 경우 한국 경제도 타격이 불가피하다고 17 일 밝혔다 .

현대경제연구원 정민 연구위원과 김수형 연구원은
'6 월 미국 금리 인상과 시사점 ' 이라는 보고서에서 외국인 자금 유출을 막기 위해선 한국도 미국을 따라 금리를 올리는 편이 좋지만 문제는 국내 경기가 금리를 올릴 만큼 뜨겁지 못하다고 지적했다 . 미국이 금리 인상 가속 페달을 밟고 있지만 한국의 경기 상황이 미지근해 금리를 따라 올리긴 어렵다는 것이다 .

보고서는
" 미국이 금리를 올해 총 4 회 인상하면 정책금리는 2.25 2.50% 가 되면서 한미 금리 차는 0.75 1.00% 포인트까지 벌어질 가능성이 크다 " " 이에 따라 외국인 자금 이탈 가능성이 있다 " 고 진단했다 . 미국 연방준비제도 (Fed· 연준 ) 13 일 연방공개시장위원회 (FOMC) 를 열고 정책금리를 연 1.75 2.00% 0.25% 포인트 인상했다

아울러 완전 고용 수준의 노동 시장
, 목표에 도달한 물가 , 경제 확장세를 앞세워 올해 추가로 금리를 2 번 올려 총 4 차례 인상할 것임을 시사했다

최근 아르헨티나
, 터키 , 브라질 등 일부 신흥국의 위기 조짐도 불안을 키우는 요인이다 .

보고서는 현재 신용부도스와프
(CDS) 프리미엄과 통화가치 절하율 기준 멕시코 , 남아프리카공화국 , 브라질 , 터키 , 아르헨티나 등 5 개국이 , 국제통화기금 (IMF) 위기 판단 지표에 따라 아르헨티나 , 터키 , 이집트 , 미얀마 , 남아공 , 우크라이나 등 6 개국이 고위험 국가라고 분석했다

이들의 세계 국내총생산
(GDP) 비중이나 한국 수출 비중은 높지 않은 편이다 . 그러나 여기에 인도 , 폴란드 , 필리핀 등까지 포함해 고위험군을 12 개국으로 확대해보면 이들의 세계 GDP 비중은 12.4%, 한국 수출 비중은 11.1% 이므로 국내외 경제에 타격을 줄 수 있는 것으로 전망됐다 .

장영일 기자
jyi78@segye.com

[ⓒ 세계비즈앤스포츠월드 & segyebiz.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