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연준 금리 인상…한국에서 촉발될 리스크 두 가지는?

한미 금리 역전폭 0.5%p로 확대됐지만 자금유출 가능성 제한적
한은,당장 금리 인상 어려울듯…대출금리 인상에 따른 부담 커져

출처=연합뉴스
미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13일(현지시간) 올해 두 번째 금리인상을 단행하면서 한미 양국 정책금리 역전 폭이 0.50%포인트로 확대됐다.

이번 연준 기준금리 인상으로 촉발될 리스크는 신흥국과 같은 자금 유출과 국내 기준금리 인상 여부 등 두 가지로 요약된다.

먼저 가장 우려되는 해외자금의 유출 가능성은 현재로서는 그리 커 보이지 않는다.

지난 3월부터 벌어진 한미 금리 격차에도 불구하고 자금 유출이 이뤄지지 않아 신흥국과들는 차별화된 모습을 보였다.

다시 0.5%포인트라는 격차로 다시 벌어졌기는 하지만 북미정상회담이라는 호재가 작용하고 있는 만큼 자금 유출이 본격화되기는 쉽지 않을 전망이다.

14일 이주열 한은 총재가 이에 대해 "우려할 정도로 크지 않을 것"이라고 밝히고 고형권 기획재정부 1차관도 "대외건전성이 견고해 시장영향이 제한적"이라고 강조하기도 했다.

다만 국내 경제의 성장성과 관련한 모멘텀에 문제가 생기거나 돌발적인 시장상황에 따라 리스크를 키우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는 있어 보인다.

두 번째로 국내 금리의 인상 가능성과 관련한 리스크다.

한은 금융통화위원회는 그동안 유지해온 점진적인 스탠스를 지속할 것으로 보여 급작스러운 기준 금리 인상은 없을 것으로 시장은 보고 있다.

국내 경기 하강 논란이 불붙고 있는데다 가계부채 규모가 엄청나 기준금리 인상에는 큰 부담이 따르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한은이 경제지표를 더 확인하고 9월 미국 공개시장위원회(FOMC) 결과 및 글로벌 중앙은행 동향을 충분히 살펴본 뒤에 움직이는 수순을 밟을 것으로 관측된다.

문제는 연준 금리 인상에 반응해 은행의 대출금리가 올라가는 부분이다.

은행권 변동금리 주택담보대출의 기준이 되는 코픽스(COFIX·자금조달비용지수)금리는 신규취급액 기준으로 2016년 9월 1.31% 저점을 기록한 뒤 올 4월 1.82%까지 올랐다. 여기서 추가로 오를 가능성이 높아 연준 금리 인상에 따른 부담은 이미 시작된 셈이다.

임정빈 선임기자 jblim@segye.com

[ⓒ 세계비즈앤스포츠월드 & segyebiz.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