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룹총수들 청문회 증언대에…삼성·롯데·SK·CJ ‘정조준’

국민연금 합병 찬성 논란· 롯데 면세점 추가 발표 의혹 집중추궁

SK·CJ 특별사면 대가성 여부…그룹들 가상 청문회 진행 '초비상'

오는 6일 열리는 ''최순실 국정농단 진상규명'' 국정조사 특별위원회 청문회를 앞두고 재계가 잔뜩 긴장하고 있다.  이번 청문회에서는 삼성, 롯데, SK, CJ 등 4개 그룹이 주요 타깃이 될 전망이다. 사진=연합

오는 6일 열리는 ''최순실 국정농단 진상규명'' 국정조사 특별위원회 청문회에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 등 9개 그룹 총수들이 일제히 출석한다. 이같이 많은 그룹 총수가 한꺼번에 청문회에 나오는 것은 처음이다. 

국조특위는 이번 청문회에서 재계 총수들을 상대로 미르·K스포츠재단 출연에 대가성이 있었는지 여부를 집중 추궁할 것으로 보인다. 특히 삼성, 롯데, SK, CJ 등 4개 그룹이 주요 타깃이 될 전망이다. 

청문회에는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 정몽구 현대자동차그룹 회장, 구본부 LG그룹 회장, 최태원 SK그룹 회장, 김승연 한화그룹 회장, 신동빈 롯데그룹 회장, 조양호 한진그룹 회장, 손경식 CJ그룹 회장, 허창수 GS그룹 회장(전국경제인연합회 회장) 등이 출석할 예정이다.

검찰 조사 결과, 박근혜 대통령은 지난해 7월과 올해 2~3월 이들 총수들을 독대하면서 미르·K스포츠 재단 설립에 적극적으로 지원해달라고 요청한 것으로 나타났다.

◇ 쟁점별 논란거리 점검…삼성물산·제일모직 합병 찬성 핫이슈로 부각

청문회에서 가장 이슈가 될 것으로 보이는 사안은 국민연금의 삼성물산-제일모직 합병 찬성 논란이다. 삼성물산 최대주주(11.6%)였던 국민연금은 지난해 삼성물산 주주에게 불리한 합병 비율이었음에도 삼성물산과 제일모직의 합병에 찬성표를 던졌고 두 회사의 합병은 삼성의 계획대로 통과됐다. 이재용 부회장은 합병 법인의 최대주주로 올라서며 경영권 승계의 중요한 발판을 마련했다.

이에 따라 국조특위는 국민연금의 합병 찬성 과정에서 청와대나 최순실씨 개입 의혹을 규명한募?방침이다. 삼성물산과 제일모직의 합병비율이 공정하게 산출됐는지도 중요 논의대상이다.

롯데의 면세점 특혜 의혹과 70억원 반환 경위에 대해서도 의원들의 질타가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롯데는 지난해 11월 면세점 특허권 재승인 심사 과정에서 서울 송파구 잠실동 월드타워점의 재승인을 받는데 실패했다. 이런 상황에서 올초 신동빈 롯데 회장이 박 대통령과 독대한 직후  서울 시내 면세점 3곳(대기업)의 추가 선정 일정이 발표됐다.

또 롯데가 K스포츠재단에 70억원을 추가 출연하기로 한 뒤 돈을 돌려받게 된 경위도 도마 위에 오를 것으로 보인다.

SK의 경우 미르·K스포츠재단에 출연한 111억원이 최태원 회장의 특별사면·복권 대가로 지급한 것이라는 의혹을 받고 있고, CJ는 미르·K스포츠재단에 출연한 13억원과 K-컬쳐밸리 사업에 투자한 1조4000억원이 이재현 회장 사면과 관련됐다는 의혹이 제기되고 있다.

◇ 청문회 준비에 그룹들 비상…독회하며 모의 청문회 진행

이번 청문회에서 오너가 증인으로 채택된 그룹들은 방송기자 출신 임원을 투입해 청문회 예행연습을 하는가 하면 국회에 의료진과 구급차를 대기시키는 등 만반의 준비를 하고 있다. 청문회에서 부적절한 대답이 나올 경우 구설수에 오를 수 있다는 점에서 답변 준비에 가장 신경을 쓰고 있다.

삼성그룹은 법무·대관업무 부서를 중심으로 비상대응팀을 꾸려 가상 청문회를 진행하는 등 준비에 나선 것으로 알려졌다.

현대차그룹이 가장 신경 쓰는 것은 79세로 역대 청문회 기업인 증인 가운데 최고령인 정몽구 회장의 건강이다. 정 회장은 2009년 초 심장질환으로 직접 심장을 열어 수술하는 개심 수술을 받았고 이후 매년 정밀 심장 검진은 물론 고혈압 치료를 받는 것으로 알려졌다.

CJ그룹도 손경식 회장이 77세로 고령인 데다 올해 폐 수술도 하는 등 건강이 좋지 못해 온종일 이어지는 일정을 소화할 수 있을지 우려하고 있다.

롯데그룹 신동빈 회장은 법무·대관업무 관련 임직원들과 함께 예상 질의·답변 형식의 강도 높은 독회를 진행할 예정인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이번 청문회가 정확한 진상규명을 위한 발언보다는 호통치기식으로 변질 될 수도 있다는 우려도 나오고 있다. 위원들이 진상 규명을 제대로 하渼鳴?벼르고 있지만 단 하루만에 사실 관계를 모두 밝힐 수 있을지에 대해 의문이 제기되고 있기 때문이다.

송광섭 기자 songbird8033@segye.com
이상현 기자 ishsy@segye.com

[ⓒ 세계비즈앤스포츠월드 & segyebiz.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