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분양 쌓이는데도 분양일정 줄줄이…"대책 시급"

2017~2018년 분양물량 많아…주택보급률도 포화상태
지방 미분양주택 급증 추세…"분양일정 등 조정 필요"

 


2012년 이후 줄어드는 추세를 보이던 미분양주택이 다시 늘어나고 있다. 

수도권과 비수도권과의 격차가 벌어졌으며 특히 최근 신규 아파트 분양이 많은 지역을 중심으로 미분양 주택이 늘고 있어 공급물량이 많은 2017~2018년 주택시장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25일 국토교통부 자료에 따르면 지난 7월 기준 전국 미분양 주택은 6만 3127가구로 집계됐다.

지난해 12월 6만 1512가구에서 줄어드는 경향을 보였으나 올해 5월 5만 5456가구, 6월 5만 9999가구 등 다시 증가세로 전환됐다.

문제는 분양시장의 상황처럼 미분양주택의 물량도 수도권과 지방간에 양극화 현상이 일어나고 있다는 것.

7월 수도권 미분양주택은 2만 1393가구로 전월 대비 8,3% 감소했으나, 지방은 4만 1734가구로 전월대비 13.8% 증가했다.

올해만 놓고 보면 수도권 미분양 주택은 지난해 말 3만 637가구에서 올해 7월 2만 1393가구로 9244가구가 줄었다.

반면 지방 미분양 주택은 지난해 말 3만 875가구에서 올해 7월 4만 1734가구로  같은기간 1만 859가구가 늘었다.

2011년 말과 비교해도 수도권 물량은 줄었고(2만 7881가구→2만 1393가구) 지방은 비슷한 양상(4만 1926가구→4만 1734가구)을 보였다.

미분양 주택은 공급이 많은 곳을 중심으로 늘어나는 경향을 보였다.

지난해 2만 6206가구가 공급됐고, 올해도 8498가구가 공급되는 용인시의 7월 기준 미분양 주택이 5010가구로 전국 시군구 가운데 가장 많았다.

창원시 역시 최근 3년간 4만가구 이상 분양되며 전국 시군구 가운데 미분양 물량이 두 번째로 많았다.

때문에 오는 2017~2018년 미분양 주택에 대한 우려는 더욱 커진다.

부동산114의 자료에 따르면 올해 전국 아파트 분양물량은 27만 8027가구다. 하지만 오는 2017년에는 36만 7103가구, 2018년에는 33만 3065가구의 입주가 예정돼 있다. 올해 입주 물량보다 각각 32.0%, 19.8% 많다.

악재는 또 있다. 바로 주택보급률이 2008년을 기점으로 100%를 넘어섰다는 것이다. 

통계청 자료에 따르면 2014년 기준 우리나라 전국 가구수는 약 1877만 2500가구로 전국 주택수 1942만 8600개보다 더 적다. 주택보급률로 환산하면 103.5%다.

전국에서 주택보급률이 100%에 미달인 지역은 △수도권 98.2% △서울 97.9% △경기 97.8% 세곳이다. 나머지 지역은 모두 100%를 넘었고 가장 보급률이 높은 충남의 경우 113.8%로 집계됐다.

부동산114의 자료에 따르면 2002~2008년 당시 부동산 시장의 성장과 맞물려 밀어내기 분양이 급증하며 연 평균 입주물량이 약 33만 가구에 달했던 시기가 있었다. 당시 준공 후 미분양이 급증하며 할인 분양과 이에 따른 계약자 입주 거부 사태, 청약 경쟁 미달사태 등이 나타나기도 했다.

미분양 주택 문제에 대한 해결책으로는 분양시기의 조정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나온다.

정부의 잇따른 부동산 대책이 나오며 전체 수요가 줄어들었기 때문에 이에 따른 물량 조정이 뒤따라야 한다는 것이다.

엄근용 건설산업연구원 책임연구원은 "미분양 주택이 많은 지역에 분양 예정 물량도 많고 8.25가계부채 관리 방안으로 주택 수요의 위축도 예견된다"며 "미분양 물량을 줄이기 위해서는 위축된 수요만큼 분양 물량도 조정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구체적인 분양일정의 조정방법에 대해 엄 연구원은 "이윤을 남겨야 하는 건설사의 입장에서는 분양일정을 조정하는 방안의 손해비용이 미분양 발생 손해비용이 보다 더 적어야 일정조정이 가능하다는 점 등 현실적인 문제를 따져봐야 할 것"이라며 "하지만 앞으로 분양될 물량이 많이 남아있다는 점을 고려하면 어느정도의 분양일정 조정의 검토가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이상현 기자 ishsy@segye.com

[ⓒ 세계비즈앤스포츠월드 & segyebiz.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