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은행 지분매각 예정가는 얼마?…1만1000원대 전망

"작년 소수지분 매각가 주당 1만1350원이 기준될 듯" 관측
원금 회수에 모자란 금액은 후일 잔여지분 비싸게 팔아 충당

지난 22일 ‘우리은행 과점주주 매각방안’이 발표됨에 따라 공적자금관리위원회가 내부적으로 설정할 예정가격이 얼마일지에 시장의 관심이 쏠리고 있다.

예정가격은 곧 공적자금 회수율과 직결되는 동시에 우리은행 민영화 실행 여부를 결정짓는 중요한 요소이기 때문이다. 공자위는  “예정가격 이상을 써낸 입찰 물량이 30% 미만일 경우 민영화 여부를 따로 검토해 결정할 것”이라고 밝혔다.

시장에서는 여러 가지 상황을 고려해 예정가격이 1만1000원대일 것이라는 예상이 힘을 받고 있다.

23일 공자위와 금융투자업계 등에 따르면, 현재 우리은행의 미회수 공적자금은 총 4조4794억원이다. 이를 완전히 회수하기 위해서는 예금보험공사가 보유한 지분 51.06%를 주당 1만2980원 이상에 팔아야 한다.

그러나 윤창현 공자위원장은 “원금 회수 기준 주가가 중요한 참고지표가 될 수는 있으나, 매각 실행 여부를 결정하는 절대적인 지표는 아니다”며 원금 회수에 연연하지 않을 것임을 강조했다.

이는 1만원대 초반에 머물고 있는 현 우리은행 주가를 고려할 때, 공자위가 원금 100% 회수를 고집해서는 사실상 민영화가 힘들다는 현실적인 판단에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금융투자업계 관계자는 “그간의 우리은행 민영화 실패도 결국 우리은행의 현 주가와 원금 회수 기준 주가의 괴리 탓이 컸다”고 말했다. 

그렇다고 해서 무작정 싸게 팔 수는 없다. 금융권 고위관계자는 “원금 회수율이 너무 낮을 경우 우리은행 민영화를 주도한 사람들이 훗날 청문회나 국정감사 등에서 책임 추궁을 당할 수 있다”며 최소한의 가격 저지선이 필요함을 지적했다.

이에 따라 인수합병(M&A) 전문가들 사이에서는 “정부와 투자자가 동시에 만족하는 가격은 지난해의 소수지분 매각가 근처에서 형성될 가능성이 높다”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공자위가 지난해 실시한 우리은행 소수지분 매각 때 2.97%의 지분이 주당 1만1350원에 팔렸다.

금융권 고위관계자는 “그 때와 비슷하게 1만1000원대에서 공자위의 예정가격이 형성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금융투자업계 관계자는 “아직 우리은행 주가가 1만1000원에 미치지 못하지만, 주가수익비율(PER)이 5.59배, 주가순자산비율(PBR)이 0.36배에 불과할 정도로 현 주가가 저평가된 상태란 것은 주지의 사실”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정부가 민간 주도 경영을 약속한 만큼 앞으로 주가가 상승 탄력을 받을 확률이 높다”고 덧붙였다.

실제로 23일 우리은행 종가는 1만400원으로 전일 대비 150원 올랐다. 시장에서는 우리은행 입찰 시까지 주가가 1만1000원선을 뚫을 것으로 보고 있다. 

공자위는 오는 24일 우리은행 지분 매각공고를 내고, 다음달 23일까지 투자의향서(LOI)를 접수한 뒤 오는 11월 중 최종 낙찰자를 선정할 예정인 것으로 알려졌다.

금융투자업계 관계자는 “과점주주 매각 때 원금 회수 기준에 미달한 금액은 예보의 잔여지분을 훗날 주가가 올랐을 때 매각함으로써 상당 부분 벌충할 수 있다”고 분석했다.

우리은행의 과점주주 매각(30%)이 성공하면, 예보에 남는 지분은 21.06%가 된다. 만약 지난해 소수지분 매각 시 부여한 콜옵션 2.97%이 모두 행사될 경우 잔여지분은 18.09%로 줄게 된다. 공자위는 이를 당분간 계속 보유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윤 위원장은 “잔여지분을 남기는 것은 결코 경영에 간섭하기 위함이 아니다”고 강조했다.

임종룡 금융위원장도 “민영화 성공 후 즉시 예보와 우리은행 간의 경영정상화이행약정(MOU)를 해지할 것”이라며 자율적인 경영을 약속했다.

윤 위원장은 “이는 공적자금 회수 극대화를 위한 조치”라면서 민영화로 우리은행 주가가 상승하면, 잔여지분을 높은 가격에 팔 계획임을 내비쳤다.

안재성 기자 seilen78@segye.com
[ⓒ 세계비즈앤스포츠월드 & segyebiz.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