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지주, 비은행계열 강화에 목매는 이유는?

장기 저금리 기조로 힘들어지는 은행 경영
수익구조 다변화로 리스크 감소 가능

최근 대형 금융지주사들이 앞다퉈 비은행계열 강화에 애쓰는 모습이다.

증권, 보험 등 비은행계열에 투자를 많이 하는 한편 관련 매물이 나올 때마다 서로 인수하려고 달려들고 있다.

이는 그만큼 최근 은행 경영이 힘들어진 데다 수익구조 다변화를 통해 리스크 감소 효과까지 얻을 수 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증권·보험 M&A 집중…은행은 뒷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지속되는 경제불황과 우리금융그룹 민영화 이슈 때문에 최근 몇 년간 많은 금융사 매물이 나왔다.

이 중 외환은행을 인수한 하나금융지주의 경우만 제외하면, 이 매물들을 대하는 대형 금융지주사들의 태도는 한 마디로 정리 가능하다. 비은행금융사 ‘환영’, 은행은 ‘흥미 없음’.

올해 초 우리투자증권이 시장에 나오자 NH농협금융지주와 KB금융지주가 달려들었다. 승자는 농협지주였다.

임종룡 농협지주 회장은 “우투증권 인수를 통해 그룹이 높은 시너지효과를 낼 것”이라고 기대감을 표했다.

KB지주는 그 실패를 만회하기라도 하려는 듯 LIG손해보험 인수전에 참전, 당초 예상금액보다 훨씬 비싼 금액을 써내면서 결국 산하에 넣었다. KB지주는 과거에도 ING생명을 인수하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인 바 있다.

반면 지방은행의 경우 신한지주가 광주은행에 흥미를 보였지만, 시종일관 뜨뜻미지근한 모습만 유지하다가 별 미련 없이 JB금융지주에 내줬다.

곧 매물로 나올 예정인 우리은행에 대한 태도는 더욱 차갑다. 한 때 ‘KB지주 인수설’이 나돌았으나, 임영록 KB지주 회장은 “우리은행을 인수할 뜻이 없다”고 딱 잘랐다. 

외환은행의 경우도 하나지주가 4대 금융지주사로 어깨를 나란히 하는 규모를 갖추는 데 큰 도움이 된 것과 동시에 외환카드, 외환캐피탈 등 비은행계열사도 여럿 손에 넣은 것을 감안해야 할 것이다.

불과 7~8년 전만 해도 은행채와 양도성예금증서(CD)를 대거 발행하면서까지 은행 대출자산 불리기에 골몰하던 모습과는 상반된 분위기다. 당시 KB지주는 외환은행 인수를 추진하기도 했었다.

무엇이 이러한 금융지주사의 트렌드 변화를 불러왔을까?

◆은행 경영환경 악화

첫 번째로 꼽히는 것은 장기 저금리 기조로 인한 은행 수익성 악화다.

금융위기 이전만 해도 4%대를 기록하던 한국은행 기준금리는 한순간에 2%대로 내려가 움직일 기미를 보이지 않고 있다. 2011년 한때 3.25%까지 오르기도 했지만, ‘미국발 재정위기’ 이후 내림세로 전환, 다시 2.5%까지 내려왔다. 다음달에도 기준금리 인하가 유력하게 점쳐진다.

이런 장기 저금리 기조는 은행 경영에 치명적이다.

시중은행 관계자는 “은행의 가장 기본적인 수익창출수단은 예대마진”이라며 “금리가 낮아질수록 대출금리와 예금금리의 차가 줄어 예대마진이 감소하게 된다”고 설명했다.

실제로 최근 수년간 은행의 순이자마진(NIM)은 거듭해서 떨어지고 있다.

지난 2011년 2.2%였던 국내은행 평균 순이자마진이 지난해에 1.73%로 2년 사이 0.47%포인트나 곤두박질쳤다.

또 대기업 부실이 사방에서 터지면서 대출 부실화로 인한 은행의 대손충당금 부담도 급증하고 있다.

금융권 관계자는 “은행은 여전한 ‘시장우월적 지배자’지만, 최근 흐름을 볼 때, 공격적인 은행 경영을 펼칠 만한 메리트는 사라진 것이 사실”이라고 지적했다.

◆안정적인 수익구조 가능

또 비은행계열사 강화를 통해 그간 지나치게 높았던 금융지주사의 은행 의존도를 낮추고, 수익구조 다변화를 꾀할 수 있다는 점도 주된 이유로 거론된다.

금융권 관계자는 “재테크를 할 때 여러 방면에 분산투자하는 것이 효과적이듯이 회사 경영도 한 곳에 올인하는 것은 좋지 않다”며 “비은행계열 강화는 사업 포트폴리오의 다변화와 더불어 빠르게 변하는 시장 상황에 의한 충격을 덜어주는, 리스크 감소 효과도 불러온다”고 분석했다.

이는 5대 금융지주사 중 가장 은행 의존도가 낮은 신한금융지주의 사례를 보면 더 확실해진다.

타 금융지주사들의 은행 의존도(당기순이익 기준)가 대개 90% 전후임에 반해 신한지주의 은행 의존도는 70% 이하다. 신한은행의 자산 규모는 업계 3위권 수준이지만, 신한카드(업계 1위), 신한생명(업계 5위권), 신한금융투자(업계 6위권) 등 여러 유력한 비은행계열사들을 거느리고 있다.  

신한지주는 올해 상반기에 금융지주 중 가장 많은 1조1360억坪?연결 당기순익을 거뒀다. 벌써 5년째 상반기 순익 1조 이상을 기록하고 있다.

KB지주와 하나지주는 각각 7652억원 및 6101억원의 연결 당기순익을 시현했다.

아직 실적을 발표하지 않은 우리지주는 1조원에 가까운 연결 당기순익이 기대된다. 다만 여기에는 조세특례제한법 개정에 따른 이연 법인세 6043억원이 포함돼 실제 영업으로 벌어들인 돈은 그리 크지 않다.

금융권 관계자는 “신한지주의 수익 호조에는 다변화된 수익구조의 영향이 분명 크다”며 “잘 분산된 사업 포트폴리오는 특히 불황인 시기에 힘을 발휘하는 듯 하다”고 말했다.

안재성 기자 seilen78@segye.com

[ⓒ 세계비즈앤스포츠월드 & segyebiz.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