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30년 해킹 등 보안사고 피해 규모 26조원 예상

산업연구원 분석…"IT 인프라 활용해 융합보안산업 키워야"

모든 사물이 인터넷으로 연결되는 '사물 인터넷' 시대가 도래하면서 '융합보안'의 중요성이 더욱 커지고 있다고 연합뉴스가 보도했다.

융합보안이란 정보통신(IT) 융합 산업에서의 개인정보 유출이나 해킹을 방지하는 것이다.

21일 산업연구원에 따르면 국내 융합보안 피해는 2015년 13조4000억원에서 2030년에는 26조7000억원으로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

융합보안 사고는 제조·서비스업, 국가기반시설 등에서 광범위하게 발생할 수 있다.

우리나라 산업의 핵심인 제조업에서 보안 사고가 날 경우 생산 차질은 물론 국가신인도 하락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 산업별 피해 규모는 자동차가 연간 약 24조원, 스마트폰이 16조원에 달할 것으로 추산된다.

또 통신·교통·전력망 등 국가기간시설에서의 보안 사고는 국가적인 재앙이 될 수 있다. 우리나라 인터넷망의 단 1%에 문제가 생겨도 약 1조4000억원의 경제적 손실이 발생할 것이라는 조사 결과도 있다.

서비스업, 특히 금융업에서는 이미 하루가 멀다 하고 개인정보 유출, 해킹 등 보안 사고가 터지고 있어 경각심이 고조된 상태다.

산업연구원은 선진국의 정보보안 관리·감독체계가 통합된 반면에 우리나라는 부처별로 분산돼 있어 사고 발생 때 정책 혼선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는 점을 지적했다.

국가·공공 분야는 국가정보원의 국가사이버안전센터가, 민간 분야는 방송통신위원회 산하 한국인터넷진흥원 인터넷침해사고대응센터가, 국방 분야는 국군사이버사령부가 각각 맡는 식이다.

황원식 산업연구원 부연구위원은 "국가 차원의 복합적인 보안 사고에 대비해 대응기관을 하나로 통합하고 IT산업 인프라를 바탕으로 융압보안산업을 적극 육성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세계파이낸스 뉴스팀 fn@segyefn.com

[ⓒ 세계비즈앤스포츠월드 & segyebiz.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